노후파산 - NHK 스페셜 제작팀 지음, 김정환 옮김/다산북스 |
“장수가 악몽이 되는 시대를 대비하라!”
NHK 화제의 다큐!
전 일본 열도를 뒤흔든 충격의 베스트셀러!
“솔직히 말하면 빨리 죽고 싶다!”
연금, 주택, 예금으로도 노후파산을 막지 못했다!
가족이 있고, 집이 있고, 착실하게 연금을 붓고, 직장에서 정년까지 일하면 노후를 보장받을 수 있다고 많은 사람들이 믿고 살아간다. 그러한 ‘노후 공식’대로만 살면 큰 걱정 없는 미래를 맞을 수 있을 거라고 의심하지 않는다. 하지만 오늘날 노인들의 실상은 우리에게 전혀 다른 미래를 예고한다. “당신들의 노후는 상상과는 다르다”고 엄숙히 경고하고 있는 것이다.
일본 NHK 취재팀은 숨겨져 있던 노인들의 비참한 현실을 다큐멘터리로 방영했다. 그리고 방송에서 미처 하지 못했던 충격적인 노인들의 일상을 생생하게 담아 『노후파산: 장수의 악몽』을 펴냈다. 이 책은 저마다 나름대로 노후를 준비해왔던 사람들이 노후파산의 위기에 몰려 있는 현실을 가감 없이 드러냈다. 그러자 전 일본 사회는 큰 충격에 휩싸였다. 현실은 예상보다 심각했기 때문이다. 노인들은 이구동성으로 “열심히 살아왔는데 이런 노후를 맞이할 줄은 꿈에도 몰랐다” “죽고 싶다” “지금까지 내 인생은 뭐였나”라는 말을 꺼냈다.
· “저는 오래 살고 싶지 않습니다. 오래 살면 예금도 바닥이 날 테니 그 전에 죽어버렸으면 좋겠네요.” _ 노후파산을 앞둔 가와니시 씨
· “비정규직으로 일하고 있는 저는 연금 미납자입니다. 결혼도 하지 못한 제게 찾아올 미래는 노후파산뿐입니다. 솔직히 오래 살고 싶지 않습니다.” _ 40대 남성 독자
· “전업 주부로 있으면서 시부모님을 돌보고 있어요. 제겐 늙은 저를 돌봐줄 아이가 없답니다. 노인 복지 시설에 들어갈 돈도 모아놓지 못했는데, 결국 집에서 외롭게 죽는 수밖에 없는 걸까요?” _ 50대 여성 독자
· “이제 곧 정년을 앞두고 있습니다. 연금과 의료제도의 결함, 질병, 고독, 무지 등 어느 것 하나만 잘못되어도 노후파산에 빠질 수 있다는 사실이 충격적입니다. 지금부터라도 빈 구멍을 메꿔야겠습니다.” _ 50대 남성 독자
우리나라보다 먼저 고령사회에 접어든 일본에서는 독거노인의 수만 600여만 명을 넘어섰고 그중 300여만 명이 빈곤 상태에 놓여 있다. 이 가운데 200여만 명은 의식주 모든 면에서 자립능력을 상실한 ‘노후파산’의 삶을 살고 있다.
놀라운 것은 노후파산에 이른 사람들은 특별히 가난한 사람들이 아니었다는 점이다. 노후파산은 지극히 평범한 사람들에게 일어났다. 어느 정도의 예금이 있고, 자기 소유의 집이 있으며, 연금도 빠짐없이 부었고, 돌봐줄 자식이 있었지만 노후파산을 막지는 못했다. 『노후파산』 속 노인들 중 그 어느 누구도 자신의 비참한 노후를 예상한 사람은 없었다. 아무런 고민도 없을 줄 알았는데, 정작 찾아온 것은 먹고살기조차 어려운 현실이었다.
지방은 더욱 심각했다. 화려한 도시의 이면에서 노인들이 홀로 짊어지기 버거운 외로움과 생활고에 지쳐갈 때, 지방의 노인들은 자급자족하며 그야말로 생존을 건 싸움을 하고 있었다. 이 책은 가족과 함께 사는 것이 당연한 시대에 만들어진 제도를 재검토하지 않는 것이 노후파산을 더욱 심각하게 만들고 있다고 지적한다. 그러면서 배우자를 잃거나, 몸이 아프거나, 부양해야 할 부모가 있거나, 자녀의 취업이 어려워져 부모의 연금에 기대 사는 등 어느 것 하나만 조금 어긋나도 노후파산에 빠져들 수 있는 사회보장제도의 취약성을 드러낸다. 세상은 지금까지 열심히 일하며 사회의 토대를 지탱해온 노인들에게 얼마 안 되는 예금마저 포기하라고 압박하며 ‘죽고 싶다’는 생각을 할 정도로 몰아붙이고 있었다.
다가올 노후에 막연한 불안감을 느끼고 있던 사람들은 책 속 노인들의 실상을 보고 난 후 커다란 충격에 빠졌다. 노후파산이 강 건너 불구경이 아니라, 당장 자신의 부모나 본인에게 일어날 수 있는 일상이라는 점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노인빈곤율 OECD 국가 중 1위
당신의 노후는 안전합니까?
그렇다면 한국은 안심할 수 있는가? 우리나라 노인빈곤율은 49.6%로 OECD 국가 중 1위다. 게다가 노인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람들 또한 한 해에 3500명가량으로 OECD 국가 중 가장 많고, 노인 10명 중 7명은 가난, 질병, 고독 등 2가지 빈곤을 함께 경험하는 ‘다차원 빈곤층’에 빠졌다. 그뿐만 아니다. 우리나라는 선진국에 비해 고령화가 매우 빨라 내년이면 전체 인구 중 노인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14%를 넘고, 2026년이면 노인인구가 20.8%에 달해 초고령사회에 접어들 예정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부모의 노후자금으로 자식의 결혼비용이나 교육자금에 치중하기 때문에 노후에 여유자금이 턱없이 부족한 사람들이 많아 빈곤이 더욱 심각할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보다 노후 정책이 잘되어 있고 노인빈곤율이 19%인 일본의 상황보다도 우리의 상황이 더욱 좋지 않은 것이다. 장수가 악몽이 되는 시대는 이미 대한민국을 덮치고 있다.
하지만 더 큰 문제는 따로 있다. 『노후파산』에서 지적하고 있듯이 진짜 문제는 노후파산의 계승이다. 현재 일본에서는 약 20년에 걸쳐 일하는 세대의 평균 수입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이는 극심한 취업난을 겪고 있는 우리나라도 다르지 않다. 일하는 세대의 생활력이 약해지면 앞으로 더욱 늘어날 노인 세대를 부양하기는커녕, 자신들의 노후조차도 보장하기가 힘들어 사회 기반 자체가 흔들릴 우려가 있다.
지금, 다가올 노후에 막연한 불안감을 느끼고 있는 사람이 적지 않다. 그러나 당장 자신의 부모나 본인이 노후파산에 처할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해본 적이 있을까? 이 책에서 생생하게 보여주듯 노후파산의 무서움은 서서히 목을 조르듯 아주 천천히 다가온다는 데 있다. 노후파산은 강 건너 불이 아니다. 바로 우리 곁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상이다.
『노후파산』은 가능하면 외면하고 싶은, 그러나 반드시 직시해야만 하는 우리 모두의 미래를 똑바로 보여준다. 노후파산에 처한 노인들을 어쩔 수 없다며 포기할 것인가, 아니면 문제 해결을 위해 한 발을 내디딜 것인가? 무엇보다 먼저 지금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그 현실을 직시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 실상을 알아야 비로소 논의를 시작할 수 있다. 모든 변화는 여기에서 시작된다. 유례없이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지만 사회보장제도는 턱없이 부족한 대한민국 사회에 이 책은 큰 파장을 불러일으키며 유의미한 변화의 시발점이 되어줄 것이다.
NHK 화제의 다큐!
전 일본 열도를 뒤흔든 충격의 베스트셀러!
“솔직히 말하면 빨리 죽고 싶다!”
연금, 주택, 예금으로도 노후파산을 막지 못했다!
가족이 있고, 집이 있고, 착실하게 연금을 붓고, 직장에서 정년까지 일하면 노후를 보장받을 수 있다고 많은 사람들이 믿고 살아간다. 그러한 ‘노후 공식’대로만 살면 큰 걱정 없는 미래를 맞을 수 있을 거라고 의심하지 않는다. 하지만 오늘날 노인들의 실상은 우리에게 전혀 다른 미래를 예고한다. “당신들의 노후는 상상과는 다르다”고 엄숙히 경고하고 있는 것이다.
일본 NHK 취재팀은 숨겨져 있던 노인들의 비참한 현실을 다큐멘터리로 방영했다. 그리고 방송에서 미처 하지 못했던 충격적인 노인들의 일상을 생생하게 담아 『노후파산: 장수의 악몽』을 펴냈다. 이 책은 저마다 나름대로 노후를 준비해왔던 사람들이 노후파산의 위기에 몰려 있는 현실을 가감 없이 드러냈다. 그러자 전 일본 사회는 큰 충격에 휩싸였다. 현실은 예상보다 심각했기 때문이다. 노인들은 이구동성으로 “열심히 살아왔는데 이런 노후를 맞이할 줄은 꿈에도 몰랐다” “죽고 싶다” “지금까지 내 인생은 뭐였나”라는 말을 꺼냈다.
· “저는 오래 살고 싶지 않습니다. 오래 살면 예금도 바닥이 날 테니 그 전에 죽어버렸으면 좋겠네요.” _ 노후파산을 앞둔 가와니시 씨
· “비정규직으로 일하고 있는 저는 연금 미납자입니다. 결혼도 하지 못한 제게 찾아올 미래는 노후파산뿐입니다. 솔직히 오래 살고 싶지 않습니다.” _ 40대 남성 독자
· “전업 주부로 있으면서 시부모님을 돌보고 있어요. 제겐 늙은 저를 돌봐줄 아이가 없답니다. 노인 복지 시설에 들어갈 돈도 모아놓지 못했는데, 결국 집에서 외롭게 죽는 수밖에 없는 걸까요?” _ 50대 여성 독자
· “이제 곧 정년을 앞두고 있습니다. 연금과 의료제도의 결함, 질병, 고독, 무지 등 어느 것 하나만 잘못되어도 노후파산에 빠질 수 있다는 사실이 충격적입니다. 지금부터라도 빈 구멍을 메꿔야겠습니다.” _ 50대 남성 독자
우리나라보다 먼저 고령사회에 접어든 일본에서는 독거노인의 수만 600여만 명을 넘어섰고 그중 300여만 명이 빈곤 상태에 놓여 있다. 이 가운데 200여만 명은 의식주 모든 면에서 자립능력을 상실한 ‘노후파산’의 삶을 살고 있다.
놀라운 것은 노후파산에 이른 사람들은 특별히 가난한 사람들이 아니었다는 점이다. 노후파산은 지극히 평범한 사람들에게 일어났다. 어느 정도의 예금이 있고, 자기 소유의 집이 있으며, 연금도 빠짐없이 부었고, 돌봐줄 자식이 있었지만 노후파산을 막지는 못했다. 『노후파산』 속 노인들 중 그 어느 누구도 자신의 비참한 노후를 예상한 사람은 없었다. 아무런 고민도 없을 줄 알았는데, 정작 찾아온 것은 먹고살기조차 어려운 현실이었다.
지방은 더욱 심각했다. 화려한 도시의 이면에서 노인들이 홀로 짊어지기 버거운 외로움과 생활고에 지쳐갈 때, 지방의 노인들은 자급자족하며 그야말로 생존을 건 싸움을 하고 있었다. 이 책은 가족과 함께 사는 것이 당연한 시대에 만들어진 제도를 재검토하지 않는 것이 노후파산을 더욱 심각하게 만들고 있다고 지적한다. 그러면서 배우자를 잃거나, 몸이 아프거나, 부양해야 할 부모가 있거나, 자녀의 취업이 어려워져 부모의 연금에 기대 사는 등 어느 것 하나만 조금 어긋나도 노후파산에 빠져들 수 있는 사회보장제도의 취약성을 드러낸다. 세상은 지금까지 열심히 일하며 사회의 토대를 지탱해온 노인들에게 얼마 안 되는 예금마저 포기하라고 압박하며 ‘죽고 싶다’는 생각을 할 정도로 몰아붙이고 있었다.
다가올 노후에 막연한 불안감을 느끼고 있던 사람들은 책 속 노인들의 실상을 보고 난 후 커다란 충격에 빠졌다. 노후파산이 강 건너 불구경이 아니라, 당장 자신의 부모나 본인에게 일어날 수 있는 일상이라는 점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노인빈곤율 OECD 국가 중 1위
당신의 노후는 안전합니까?
그렇다면 한국은 안심할 수 있는가? 우리나라 노인빈곤율은 49.6%로 OECD 국가 중 1위다. 게다가 노인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람들 또한 한 해에 3500명가량으로 OECD 국가 중 가장 많고, 노인 10명 중 7명은 가난, 질병, 고독 등 2가지 빈곤을 함께 경험하는 ‘다차원 빈곤층’에 빠졌다. 그뿐만 아니다. 우리나라는 선진국에 비해 고령화가 매우 빨라 내년이면 전체 인구 중 노인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14%를 넘고, 2026년이면 노인인구가 20.8%에 달해 초고령사회에 접어들 예정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부모의 노후자금으로 자식의 결혼비용이나 교육자금에 치중하기 때문에 노후에 여유자금이 턱없이 부족한 사람들이 많아 빈곤이 더욱 심각할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보다 노후 정책이 잘되어 있고 노인빈곤율이 19%인 일본의 상황보다도 우리의 상황이 더욱 좋지 않은 것이다. 장수가 악몽이 되는 시대는 이미 대한민국을 덮치고 있다.
하지만 더 큰 문제는 따로 있다. 『노후파산』에서 지적하고 있듯이 진짜 문제는 노후파산의 계승이다. 현재 일본에서는 약 20년에 걸쳐 일하는 세대의 평균 수입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이는 극심한 취업난을 겪고 있는 우리나라도 다르지 않다. 일하는 세대의 생활력이 약해지면 앞으로 더욱 늘어날 노인 세대를 부양하기는커녕, 자신들의 노후조차도 보장하기가 힘들어 사회 기반 자체가 흔들릴 우려가 있다.
지금, 다가올 노후에 막연한 불안감을 느끼고 있는 사람이 적지 않다. 그러나 당장 자신의 부모나 본인이 노후파산에 처할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해본 적이 있을까? 이 책에서 생생하게 보여주듯 노후파산의 무서움은 서서히 목을 조르듯 아주 천천히 다가온다는 데 있다. 노후파산은 강 건너 불이 아니다. 바로 우리 곁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상이다.
『노후파산』은 가능하면 외면하고 싶은, 그러나 반드시 직시해야만 하는 우리 모두의 미래를 똑바로 보여준다. 노후파산에 처한 노인들을 어쩔 수 없다며 포기할 것인가, 아니면 문제 해결을 위해 한 발을 내디딜 것인가? 무엇보다 먼저 지금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그 현실을 직시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 실상을 알아야 비로소 논의를 시작할 수 있다. 모든 변화는 여기에서 시작된다. 유례없이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지만 사회보장제도는 턱없이 부족한 대한민국 사회에 이 책은 큰 파장을 불러일으키며 유의미한 변화의 시발점이 되어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