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한글날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한글날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5년 10월 9일 금요일

2015년 10월 8일 목요일

일제강점기의 국어 운동에 대하여

일제강점기의 국어 운동은 어떻게 전개되었을까요? 

 일제 시대의 국어 운동 방해와 박해가 심했던 일제시대에도 국어운동은 활발히 이어졌습니다. 

최초의 민간신문인 독립신문은 순한글 쓰기와 띄어쓰기를 시행하여 한글맞춤법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역할을 하였으며, 국민들의 한글 사용에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이러한 독립신문의 창간일이 오늘날 ‘신문의 날'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주시경(1876-1914)선생은 ‘한글'이란 이름을 ‘언문, 암클, 반절'이란 이름으로 천대받던 훈민정음의 권위를 되찾게 하였습니다. 

또한 선생은 분석적인 방법으로 현대적인 국어학을 개척하고 <조선어학회>의 전신인 <국어연구학회>를 창립하여 국어 운동의 기초를 닦아, 한글을 새롭게 부흥시킨 한글의 중간 시조입니다. 

조선어 연구회에서는 음력 9월 29일을 양력으로 환산해 10월 28일을 훈민정음 반포 기념일로 정하고 그 이름을 ‘가갸날'이라 명했습니다. 



그러나 1940년 안동에서 발견된 훈민정음 원본에 음력 9월 상순으로 되어있음을 알고 이를 양력으로 환산해 10월 9일을 한글날로 정하였습니다. 

또한, 한글 맞춤법 통일안 1933년, 한글 반포 487돌을 기념해 한글학회에서는 그 동안의 연구 성과인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공표했습니다. 이로써 한글창제 이후 근 오백년 동안 제대로 된 언어규범이 없어 혼란스럽던 한글체제를 잡아줌으로써, 합리적인 언어 생활의 기틀을 다지게 되었습니다.

 1936년 <표준어 사정>, 1940년 <외래어 표기법> 제정, 1942년 <조선말 큰사전> 출판에 착수했습니다. 1932년 조선어학회 기관지인 <한글>이 창간되고 1934년에 조선어학연구회 기관지인 <정음>창간, 1931년-1934년에는 민간신문의 브나로드 운동과 강습회 등은 일제치하의 대표적인 국어운동이었습니다. 

1938년 4월 일제의 파멸적 교육령이 시행되면서 일제는 각급 학교의 조선어과 폐지에 이어 조선어 금지, 일본어 상용을 강요했습니다. 특히 1942년에는 치안 유지법으로 조선어학회 회원과 그 관련자 29명을 구속하고 고문으로 사건을 날조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국어학자 한징, 이윤재가 옥사했으며, <조선말 큰사전> 간행은 물거품이 되었습니다. 항일 문학 구한말 의병장들의 항일 한시부터 맥을 이어온 저항문학은 일제치하에서도 줄기차게 이어졌습니다. 

3·1운동 민족대표자 중 한 사람인 한용운의 <님의 침묵>, 신경향파 이상화의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심훈의 <그날이 오면>, 1940년을 고비로 우리말과 글이 금지된 상황에서 우리말로 시를 써 끝까지 저항한 이육사, 윤동주님의 항일 문학에 흐르고 있는 것은 뜨거운 민족애와 고결한 애국정신이었습니다.


국경일과 한글날국경일의 개념, 국경일의 종류, 국경일의 예절, 국경일의 외국사례, 국경일과 계기교육, 국경일과 한글날

국경일국경일 개념국경일 종류국경일 예절국경일 외국사례국경일과 계기교육국경일과 한글날국경일의 개념, 국경일의 종류, 국경일의 예절, 국경일의 외국사례, 국경일과 계기교육, 국경일과 한글날
국경일의 개념, 국경일의 종류, 국경일의 예절, 국경일의 외국사례, 국경일과.hwp


목차
Ⅰ. 개요

Ⅱ. 국경일의 개념

Ⅲ. 국경일의 종류
1. 3 1 절
2. 제헌절
3. 광복절
4. 개천절

Ⅳ. 국경일의 예절

Ⅴ. 국경일의 외국사례
1. 1월 1일 - 元日(がんじつ) New Year s Day
2. 1월 15일 - 成人の日(せいじんのひ), Adult s Day
3. 2월 11일 - 建國記念の日(けんこくきねんのひ)National Founding Day
4. 3월 21일경 - 春分の日(しゅんぶんのひ), Vernal Equinox Day
5. 4월 29일 - みどりの日(ひ), Greenery Day
6. 5월 3일 - 憲法記念日(けんぽうきねんび), Constitution Memorial Day
7. 5월 5일 - こどもの日(ひ), Children s Day
8. 7월 20일 - 海の日(うみのひ), Marine Day
9. 9월 15일 - 敬老の日(けいろうのひ), Respect-for-the-Aged Day
10. 9월 23일경 - 秋分の日(しゅうぶんのひ), Autumnal Equinox Day
11. 10월 10일 - 體育の日 (たいいくのひ), Health-Sports Day
12. 11월 3일 - 文化の日(ぶんかのひ), Culture Day
13. 11월 23일 - 勤勞感謝の日(きんろうかんしゃのひ), Labor Thanksgiving Day
14. 12월 23일 - 天皇誕生日(てんのうたんじょうび), Emperor s Birthday

Ⅵ. 국경일과 계기교육
1. 사회적인 면에서
2. 교사 측면에서
3. 학습자 측면에서

Ⅶ. 국경일과 한글날
1. 찬성
2. 반대

참고문헌

본문
Ⅰ. 개요

원래 영어의 애국심, 즉 “Patriotism\ 이란 말은 라틴어의 조국, 즉 ”Patria\ 라는 말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므로 원어 본래의 의미로부터 말하면 애국심은 조국애라고도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원래 자기가 속하고 있는 집단에 애착을 느끼는 것은 멀리 원시적 집단 본능에서 찾아 볼 수가 있다.
사회학자의 말에 의하면 이와 같은 시대에는 두 가지의 집단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그 하나는 우리들의 집단, 내부적 집단(we-Group, in- Group) 등이라 불려지는 것이고, 또 하나는 타인의 집단, 외부적 집단(others-Group, out-Group) 등이라고 일컬어지고 있는 것으로 우리들의 조상의 의식 및 행동은 이 두 가지 집단의 대립에 의해서 근본적으로 규정되고 있었다. 그들에겐 ‘우리’만이 사람이었고 ‘남’은 사람이 아니거나 적어도 ‘우리’와는 크게 다른 것이었다. 사람이 아닌 남의 집단에 대하여 지극히 배타적인 것은 그 때문이었다. 베르그송(Henri Bergson, 1859~1941)이 말한 바와 같이 ‘사람은 사람에 있어서 신이다’라는 말은 내부적 집단의, ‘사람은 사람에 있어서 이리다’라는 말은 외부적 집단의 원리를 표현하고 있다. 따라서 애국심의 원시적 기원은 이 ‘사람=신’과 ‘사람=이리’ 사이를 맴도는 것으로서 자기중심적 배타적 애착심에 그 기원을 둔다.
부단한 공포, 떨면서 살아온 조상의 생활에는 Sumner의 이른바 자민족중심주의(Ethnocentrism)가 매우 현저하다. 이것은 자기의 집단을 만물의 중심으로 보는 태도에 불과하다. 자기 집단의 관습을 최고의 것이라고 생각하며, 무엇이든 자기 집단의 것이면 자랑하며, 반대로 다른 집단에 대해서는 일체를 경멸하고 증오한다. 자기들만이 인간이라고 믿고 있으면 구성원은 높은 자긍심을 갖고 결속할 수 있으며 인간 이하 혹은 인간 이외의 것에 대해서는 어떠한 행위를 하더라도 자기의 마음에 괴로움을 느끼는 일은 없다. 또한 자기집단의 어떤 구성원이 관습을 위반한 경우 인간은 그 전체가 집단으로 규정되며, 흡수되어 있기 때문에 이 위반자에 대한 제재는 매우 가혹한 것으로 된다. 관습을 달리하는 외부집단에 대한 비관용과 내부의 위반자에 대한 비관용은 동반되는 것이며 많은 경우 그러한 제재는 상대방 존재의 일부분이 아니라 그 존재의 전체에 향해 간다.
지금의 애국심이란 개념이 성립된 것은 근대 이후의 일이다. 인간은 자기의 이권을 주장하는 권리와 아울러 자기가 속하는 사회에 대해서 의무를 지고 있다. 이와 같이 자기가 속하는 사회가 조국이라고 불려지며, 그 조국의 범위는 시대에 따라 상이하다. 그것이 지금 우리가 이해하고 있는 ‘국가’로 된 것은 그와 같은 국가가 역사상에 성립한 근대 이후이다.
애국은 말 그대로 말하면 나라를 사랑한다는 것이다. 좀 더 내용적으로 말하면 나라의 이익을 도모하며 발달을 꾀하는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어떻게 해서 나라의 이익을 도모하며 발달을 꾀하느냐에 있다. 하나는 오직 자국의 이익만을 도모하며 오로지 자국의 발달만을 꾀한다는 방식이다. 다른 나라의 이익을 존중한다던가, 그

본문내용
제헌절
3. 광복절
4. 개천절
Ⅳ. 국경일의 예절
Ⅴ. 국경일의 외국사례
1. 1월 1일 - 元日(がんじつ) New Years Day
2. 1월 15일 - 成人の日(せいじんのひ), Adults Day
3. 2월 11일 - 建國記念の日(けんこくきねんのひ)National Founding Day
4. 3월 21일경 - 春分の日(しゅんぶんのひ), Vernal Equinox Day
5. 4월 29일 - みどりの日(ひ), Greenery Day
6. 5월 3일 - 憲法記念日(けんぽうきねんび), Constitution Memorial Day
7. 5월 5일 - こどもの日(ひ), Childrens Day
8. 7월 20일 - 海の日(うみのひ), Marine Day
9. 9월 15일 - 敬老の日(けいろうのひ), R

참고문헌
* 김창순(1993), 사대 국경일 행사교육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 김선섭(2000), (달력 속에서 만나는)숨은 우리날 찾기 1,국경일과 법정기념일, 씨앤드씨그룹
* 곽재용(2008), 한글날을 어떻게 보내야 하는가, 우리말글학회
* 황종각(1984), 국경일 경축가제정의 의의와 이의 실효성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 한글날 국경일 추진을 위한 의원 모임(2000), 한글날 국경일 지정을 위한 공청회, 대한민국국회
* (구)중앙해정기관(1996), 국가상징 및 국경일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국경일, 공휴일, 기념일, 국공휴일, 법정기념일
이 자료는 http://www.jisik-book.com에서 제공하는 유료자료입니다.